우리 학문의 길 讀後感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5:46
본문
Download : 우리 학문의 길 독후감.hwp
그렇기에 학문 과정은 대화의 과정이라 할 수 있고, 학문하는 곳은 일종의 광장(廣場)이라 할 수 있따 따라서 교육과정, 교육제도 또한 대화하는 장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학계의 위기는 교육현실의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오늘날 우리의 학문적 현실은 큰 위기를 맞고 있다아 우리 학계의 위기는 교육현실의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아 학문의 진정한 역할을 다하지 못하여 급격한 세태의 변화 속에서 기초학문이 무너지고 있고 더욱이 인문학은 학문의 맥 잇기를 걱정해야 할 만큼 큰 위기를 맞고 있다아 지금 한 대학에서는 기초학문과 인문학을 전공하는 학과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원을 확보토록 하는 제도인 ‘최소정원제’를 만들었다고 하니 그 심각성을 알 수 있다아
우리 학문의 길,독후감
설명
다. 또한 교육은 창조하는 교육이 되어야한다. 현실교육의 결점을 밝히고 그 방안(方案)을 저술하고 있따 또한 이 책은 위의 시야를 세계로 확대, 현대 인류의 위기를 극복해나가야 할 주체로서의 우리의 역할, ‘올바른 학문’을 위한 우리 학문의, 연구자들의 적극적이고 주동적인 역할을 강조하고 있따 즉 학문의 수입업자 노릇을 할 것이 아니라, 자주적인 학문의 주체가 될 것을 당부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한 대학에서는 기초학문과 인문학을 전공하는 학과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원을 확보토록 하는 제도인 ‘최소정원제’를 만들었다고 하니 그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우리 학문의 길 讀後感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저자는 저서에서 학문을 定義(정의)하는 것으로 서장을 시작한다. 이 말은 학문이 학문답기 위해서는 혼자만의 넋두리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뜻한다. 조동일 교수님은 저서를 통해, 오늘날 인문․사회과학의 위기를 주장하는 우리들에게 ‘무엇을 먼저 해야 할 것인가’를 직접 제안하고 있따 이제 `위기담론을 즐기는 것은 그만두고 제도 改善에 대한 구체적인 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저자는 위기를 인식하는 것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또한 학문의 본질은 합리성과 실증성을 지녀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靑少年(청소년) 들의 교육 현실은 ‘수능’이라는 입시제도아래 단순하고 편파적인 지식 암기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따
Download : 우리 학문의 길 독후감.hwp( 42 )





순서
오늘날 우리의 학문적 현실은 큰 위기를 맞고 있다. 내가 생각하는 학문은 이치를 다지는 행위이고 무엇이든지 의심스럽게 보고 다시 검토하는 것이다. 그리고 학문의 定義(정의)를 올바르게 내려야 진정으로 올바른 학문의 길을 갈 수 있다고 한다. 학문은 진리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학문의 진정한 역할을 다하지 못하여 급격한 세태의 변화 속에서 기초학문이 무너지고 있고 더욱이 인문학은 학문의 맥 잇기를 걱정해야 할 만큼 큰 위기를 맞고 있다. 학문하는 자세나 방법이 잘못되어 학문이 망쳐지고 있을 때면 학문론 전반의 반성과 망향재정립이 절실하게 요망된다 바로 그런 시점에서 학문을 논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대학에 입학한 지성인으로서 나는 우리 학문의 바람직한 길을 모색하는 것은 한번쯤 고민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