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은 없다 - 양녕대군의 윤리적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14:42
본문
Download : 왕은 없다 - 양녕대군의 윤리적 고찰.doc
▼본문
1. 소설에서의 양녕
양녕대군…(skip)
성낙주님의 장편소설 왕은 없다를 읽고 양녕대군의 윤리적 고찰 보고서입니다. 그러나 소설에서는 양녕이 `왜` 그래야 했는지에 대해 말해준다. 예전 KBS 드라마 `王과 妃`에도 양녕이 한명회 등과 더불어 한통속인 것으로 나오는데, 그가 `왜` 그랬는지에 관련되어는 도통 다루지 않고 있다아 그저 세조가 어린 조카에 대해 고뇌하며 눈물 흘리는 모습을 보여주기에 급급하므로 당연한 일일 것이다. 이미지나 행동거지, 생각하는 바도 매우 많이 다른 것 같다. 보통 정사(正史)라 일컫는 역싸는 특권층의 것이고 지배자의 것이며 `왕`의 것이다. 그것이 바로 조연과 주인공의 차이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며, 이제 본문으로 들어가려 한다. 양녕은 자신의 희생을 바탕으로 한 왕권이 흔들리는 것을 용납할 수가 없었으며, 종국에는 아우의 아들로 하여금 칼을 들게 했다는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그것은 양녕 자신이 권력의 철저한 피해자였기 때문이었다.[독후감]왕은없다-양녕대군의윤리적고찰 , 왕은 없다 - 양녕대군의 윤리적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독후감]왕은없다-양녕대군의윤리적고찰
순서
다.
드라마 `왕과 비`에서의 양녕과 소설 <왕은 없다>에서의 양녕은 내가 보기엔 무척 다르다.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왕은 없다 - 양녕대군의 윤리적 고찰.doc( 78 )
왕은 없다 - 양녕대군의 윤리적 고찰
성낙주님의 장편소설 왕은 없다를 읽고나서 양녕대군의 윤리적 고찰 보고서입니다.
이 책을 읽기 전 나는, 양녕대군이 세조의 왕위찬탈에 적극 관여했다는 사실을 몰랐었다. 그를 제치고 왕위를 이은 세종아우는 32년간의 치세동안 눈부신 文化발전을 이룩하며 완벽에 가까운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이루었으나, 이후 문종을 거쳐 단종에 이르러 왕권은 유명무실하게 되어버렸다.
▼서문
▼본문
1. 소설에서의 양녕
2. 양녕의 행위에 대한 평가
3. 윤리적인 왕, 비윤리적인 왕
4. 역싸에 대한 윤리적 평가? ->결과주의, 공리주의
5. 공리주의의 맹점
6. 현재상황에서의 권력
▼결론
내가 만일 권력을 잡는다면…
저자는 책에서 상당히 설득력 있는 해석을 하고 있다아 보통의 통속적인 역싸소설과는 다른, 뭔가 생각할 거리를 준다. 역싸는-기록으로 남는 역싸만을 말한다면- 보통은 `승리자`의 것이다. 저자는 바로 그 점에 착안해, 소설에서는 `패배자`의 눈을 통해 역싸를 바라보고 있다아 양녕대군(讓寧大君). 조선 제3대 왕 태종의 장자로서 어린 나이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결국에는 동생인 충녕에게 왕위를 넘겨주어야 했던, 철저한 역싸의 패배자요 권력의 피해자였던 그의 눈을 빌려 태조와 태종, 세종의 치세와 세조의 왕위찬탈에 이르기까지의 역싸적 사실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