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ection.kr 박정희-서발턴 > infection1 | infection.kr report

박정희-서발턴 > infection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infection1

박정희-서발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05:43

본문




Download : 박정희-서발턴.pptx




순서


설명

레포트/기타



박정희-서발턴 , 박정희-서발턴기타레포트 , 박정희 서발턴
박정희-서발턴
박정희-서발턴_pptx_01.gif 박정희-서발턴_pptx_02.gif 박정희-서발턴_pptx_03.gif 박정희-서발턴_pptx_04.gif 박정희-서발턴_pptx_05.gif 박정희-서발턴_pptx_06.gif




박정희,서발턴,기타,레포트






박정희-서발턴

_SLIDE_1_
낮은 곳의 목소리들 책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을 통해 본 서발턴

_SLIDE_2_

서 발 턴 ; subaltern
- sub + altern, 하위+타자
- 소위 하위계층, 신분이 낮은 사람, 알려지지 않은
비주류계층, 스스로 말할 수 없는 사람.
- 말하더라도 그것을 해석하는 타자의 시점과
언어에 의해 지워져 버리고 마는 존재.
_SLIDE_3_
잃어버린 목소리
1. 박정희 시대의 서발턴

2. 현재의 서발턴
_SLIDE_4_
잃어버린 목소리
두 이주 여성의 이야기 - 파독간호사와 이주노동에 대한 기억

‘은혜받은 장소’로서의 독일
: 교육의 기회, 언어 습득, 경제적 기회 등
문명의 시혜를 받은 것을 고맙게 생각.
동시에 여성이자 독립적인 개인으로서
자신을 인정해준 시공간으로 독일을 기억함.





- 나라’를 위해 머무른 독일
: 박한맘과 신길순, 두 여성의 이주노동에 대한 이야기는
파독 간호사에 대한 지배적 내러티브와는 다름.
국가와 민족의 경제성장을 위해 이들이 기여했다든지,
성공한 해외이주 한인류의 이야기와는
꽤나 먼 거리가 존재. 이들을 규정하는 담론은 민족주의와
근대화라는 사회적 담론의 형태로 자리 잡고 있따

_SLIDE_5_
잃어버린 목소리


- 현재, 그리고 과거의 공존
: ‘산업전사’였던 광부들의 기억은 자신들이 한국 사회에서
망각되고 있다는 서운함, 고통 등 트라우마를 공유하고
있는 집단기억으로서 성격을 지님.



- 망각의 한국사회, 서발턴이 된 광부들
한국사회는 이들의 억울함, 허무함에 귀 기울이지 않음
이점에서광부들 =‘서발턴’이라고 볼 수 있음.
자신들이 history화 되길 원했지만 ‘비가시적인’ 존재였음.
박정희 시대가 제기했던 future(미래)는 광부들에게 오지 않았고,
여전히 죽음의…(생략(省略))

Download : 박정희-서발턴.pptx( 41 )


다.
전체 6,73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infection.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