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생존해법-경영 혁신과 퇴직연금](9)미국 IT기업의 퇴직연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1:28
본문
Download : 20060623-.jpg
먼저 수익배분은 국내의 인센티브 제도와 유사한 것으로 기업 순이익의 일정 비율을 퇴직연금 형태로 적립한 후 직원별 근속연수 등에 근거해 배분하는 것이다.
Download : 20060623-.jpg( 80 )
순서
[기업의 생존해법-경영 혁신과 퇴직연금](9)미국 IT기업의 퇴직연금
레포트 > 기타
[기업의 생존해법-경영 혁신과 퇴직연금](9)미국 IT기업의 퇴직연금





[기업의 생존해법-경영 혁신과 퇴직연금](9)미국 IT기업의 퇴직연금
퇴직연금 歷史(역사)가 우리에 비해 깊은 미국은 그 내용 역시 상대적으로 풍부하다.
물론 이들 미국 IT기업이 적용한 퇴직연금제도가 반드시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다.
마지막으로 인텔은 DC형에 해당하는 401K를 적용하면서 DB형도 추가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의 퇴직연금제도는 국내 제도와 비교하면 훨씬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제도 운영범위뿐 아니라 보다 큰 시각에서 직원의 퇴사 이후 복지 부분까지는 포함한다는 점에서 보다 종합적이고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
국내에서도 DB와 DC를 동시에 채택하여 운용하고 있는 회사가 있지만 인텔의 DB형 제도는 직원 가운데 DC형을 원하지 않는 일부 직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직원 한 명이 401K와 DB를 동시에 선택·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지녔다. 따라서 퇴직연금제도 도입에 앞서 충분한 사전 준비와 검토작업을 거쳐 적절한 연금사업자를 선택하는 것이 퇴직연금제도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다.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본부 pensionfund@miraeasset.com
설명
다만 인텔의 DB형 제도도 수익배분 제도에서 적립된 계좌로 최소 수준의 퇴직 후 소득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적용된다는 점에서는 일부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IT기업과도 많은 관계를 맺고 있는 미국 인텔의 경우만 봐도 미 퇴직연금제도의 체계성을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의 생존해법-경영 혁신과 퇴직연금](9)미국 IT기업의 퇴직연금
인텔의 퇴직 관련 지원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익배분(Profit Sharing) 제도 △401K 제도 △확정급여(DB) 제도 등 세가지로 구분된다
기본적으로 미국의 퇴직연금제도는 현재 국내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형태보다 체계적이며 전체 복지서비스 호로그램 속의 한 분야로서 확실히 자리매김한 상태다. 이처럼 근로자가 DB·DC형을 둘 다 선택하는 것은 아직 국내에서는 제도적으로 허용되지 않고 있다
우선 인텔의 복지혜택은 △의료혜택 △유급휴가 △퇴직관련 지원 △기타 혜택 △생명·상해 保險 등 대략 5가지로 구성된다 이 중 인텔의 퇴직 지원 호로그램은 단순히 퇴직 후 노후자금 지원이라는 차원을 넘어서 퇴직 후 삶에 대한 전반전인 지원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추진되고 있다 바로 이 부분이 아직 단순 퇴직금 지원 형태에 머물고 있는 국내 퇴직 지원제도와 가장 큰 차이다. 일반적으로 401K는 직원 적립분에 대해 일정 부분을 회사가 추가로 적립해주는 호로그램도 포함하나 인텔은 이를 적용하지는 않았다.
퇴직기여(DC)형으로 볼 수 있는 401K는 해당 계좌에 직원이 자신의 급여 중 일정 부분을 적립하면 그 부분에 대해서 소득공제와 과세이연의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기업이 얼마나 자사 환경에 맞는 방식을 설계하고 적용하느냐다.
요약=이호준기자@전자신문, newlevel@
미국내 동종 업체인 시스코시스템스, 델, 마이크로소프트 등은 401K 제도는 운영하지만 DB형은 지원하지 않고 있다 대신 이들 기업은 근로자 적립분에 대해 각 사별로 일정 한도 내에서 50∼100%까지 회사가 추가 적립해주는 호로그램을 운영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