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노트(Ginott)의인본주의부모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17:50
본문
Download : 기노트(Ginott)의인본주의부모교육.hwp
기노트는 액슬린으로부터 아동이 바르게 성장하고 발달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자기
부모로부터 애정을 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자녀의 욕구와 요구에
민감하게 反應해 주어야 한다는 것과 놀이치료를 배웠다. 또한 그는 드라이커스와 마찬가지로 부모들이 자녀를 잘
못 양육하는 이유는 부모들의 인성이 바르지 못한 때문도 아니고 개인적으로 문제성을
가졌기 때문도 아닌, 경험부족, 지식부족, 그리고 바람직한 부모의 양육방식에 접할 기
회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 후 슬라브슨(S. R. Slavson)으로부터 심리학 역동성(psychodynamic theory)과 부모-자녀 관계의 발달수준에 대한 理論(이론)을 배웠으며 플로리다에 있는 아동지도연구소에서 연구
원으로 9년 동안 근무하면서 정서장애 아동과 youth을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를 실시
하면서 아동과 부모의 문제, 부모개입 방법에 대한 experiment(실험)을 거쳐 부모교육 기법을 개발
하였다(Orgal, 1980).
기노트의 많은 저서들이 주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기술을 증진시키는 내용이
많은 것은 인본주의 심리학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김명희, 1996). 인본주의 심리
학(humatic psychology)에서는 부모-자녀 간에 상호 인간적으로 존중하고 이러한 바탕
을 토대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따
기노트는 초등학교 교사, 소…(생략(省略))
%EC%9D%98%EC%9D%B8%EB%B3%B8%EC%A3%BC%EC%9D%98%EB%B6%80%EB%AA%A8%EA%B5%90%EC%9C%A1_hwp_01.gif)
%EC%9D%98%EC%9D%B8%EB%B3%B8%EC%A3%BC%EC%9D%98%EB%B6%80%EB%AA%A8%EA%B5%90%EC%9C%A1_hwp_02.gif)
%EC%9D%98%EC%9D%B8%EB%B3%B8%EC%A3%BC%EC%9D%98%EB%B6%80%EB%AA%A8%EA%B5%90%EC%9C%A1_hwp_03.gif)
%EC%9D%98%EC%9D%B8%EB%B3%B8%EC%A3%BC%EC%9D%98%EB%B6%80%EB%AA%A8%EA%B5%90%EC%9C%A1_hwp_04.gif)
%EC%9D%98%EC%9D%B8%EB%B3%B8%EC%A3%BC%EC%9D%98%EB%B6%80%EB%AA%A8%EA%B5%90%EC%9C%A1_hwp_05.gif)
%EC%9D%98%EC%9D%B8%EB%B3%B8%EC%A3%BC%EC%9D%98%EB%B6%80%EB%AA%A8%EA%B5%90%EC%9C%A1_hwp_06.gif)
다. 정신의
학理論(이론)과 부모교육을 연결시켜 부모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기술을 증진시키려고 노력
한 선구자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인본주의 부모교육이
론에서 부모와자녀 간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 기법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아동의 문
제행동을 정서적 요인으로 보고 그 原因을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다고 보았다.
Download : 기노트(Ginott)의인본주의부모교육.hwp( 69 )
기노트(Ginott)의인본주의부모교육기노트(Ginott)의인본주의부모교육 , 기노트(Ginott)의인본주의부모교육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레포트
기노트(Ginott)의인본주의부모교육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기노트(Ginott)의인본주의부모교육
순서
기노트(Ginott)의인본주의부모교육
기노트(Ginott)의 인본주의 부모교육
목차
* 기노트(Ginott)의 인본주의 부모교육
Ⅰ. 배경
Ⅱ.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견해
Ⅲ. 부모교육의 원리
1. 부모-자녀 사이의 감정 교환하기
2. 효율적인 칭찬 및 비평의 형태 찾기
3. 행동의 한계를 설정하기
4. 모델로서 부모역할 하기
Ⅳ. 부모교육 프로그램(program]) 의 운영 실제
1. 불평 늘어놓기 단계
2. 감수성 높이기 단계
3. 槪念형성 단계
4. 기술습득의 단계
* 참고한 문헌
* 기노트(Ginott)의 인본주의 부모교육
1) 배 경
기노트(Haim Ginott)의 인본주의 부모교육은 매슬로우(Maslow), 로저스(Rogers), 액슬
린(Axline)으로 이어지는 인본주의 심리학 理論(이론)에 근거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