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롯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8 20:59
본문
Download : 플롯론.hwp
플롯론
플롯론플롯론2 , 플롯론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Download : 플롯론.hwp( 78 )
1. 플롯의 槪念
1) 형태론적 관점
◈ 플롯을 일정한 예술적 effect를 낳는데 필요한 서술상의 기술로 보는 것
◈ 포스터(E.M Forster) - 스토리와 플롯의 양분법
· 스토리 : 시간의 순서에 따라 요약된 사건의 서술
· 플롯 : 인과관계에 중점을 둔 사건의 서술
· 스토리가 <그래서?>라는 의문을 불러일으키는 장치라면, 플롯은 <왜?>라는 인과성의 측면이 강조되는 장치이다.
2) 존재론적 관점
◈ 플롯을, 인물·사건·사상 등 소설의 요소를 보다 effect 있게 요약하고 종합하는 본질적인 힘이라고 보는 것
◈ 모리스 토마체포스키(Boris Tomashesvky)
· 스토리: 논리적이고 인과적이며 시간적인 순서로 배열된 모티브의 집합체.
플롯 : 한 작품이 여러 모티브 중 drop되어도 소설의 전체 구조에 影響(영향)을 미치지 않는 모티브를 ‘자유모티브’라 하고, 그것이 빠져버리면 사건과 사건 사이의 연관성이 파괴되고 나아가 작품 전체 구조가 무너져 버리는 모티브를 ‘관련 모티브’라고 한다.
플롯인 경우 : 왕이 죽자 왕비는 슬퍼한 나머지 죽고 말았다. 따라서 플롯에 있어서 형태론적 관점과 주제론적 관점을 나누어 생각하기보다는, 이 두가지의 요소를…(drop)
플롯론2
,감상서평,레포트
순서
플롯론
다.
스토리는 관련 모티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플롯은 자유 모티브(에피소드 또는 여담)까지도 포함한다.
· 정적(靜的) 모티브 : 자연과 지방색, 가구 배치나 등장 인물, 또는 성격 묘사 등 → 플록에 관여
· 동적(動的)모티브 : 주요 작중 인물의 행위 → 스토리의 중심요소
시와 소설을 포함한 예술 작품을 分析(분석)하는 과정에서 형식적인 요인과 내용적인 요인을 따로 떼어놓고 본다는 것은 도식적인 사고에 지나지 않는다.
스토리인 경우 : 왕이 죽고 다음에 왕비가 죽었다.
· 스토리는 호기심 하나만을 가지고도 능히 포착될 수 있는 것이나, 플롯은 소설 속의 한 사실과 다른 사실을 연결시킬 줄 아는 능력, 즉 지성과 이미 읽어버린 부분에 대한 기억력이 뒤따라야만 그 포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